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652
1652번: 누울 자리를 찾아라
첫째 줄에 방의 크기 N이 주어진다. N은 1이상 100이하의 정수이다. 그 다음 N줄에 걸쳐 N개의 문자가 들어오는데 '.'은 아무것도 없는 곳을 의미하고, 'X'는 짐이 있는 곳을 의미한다.
www.acmicpc.net
문제
일 년 동안 세계일주를 하던 영식이는 여행을 하다 너무 피곤해서 근처에 있는 코레스코 콘도에서 하룻밤 잠을 자기로 하고 방을 잡았다.
코레스코 콘도에 있는 방은 NxN의 정사각형모양으로 생겼다. 방 안에는 옮길 수 없는 짐들이 이것저것 많이 있어서 영식이의 누울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. 영식이는 이 열악한 환경에서 누울 수 있는 자리를 찾아야 한다. 영식이가 누울 수 있는 자리에는 조건이 있다. 똑바로 연속해서 2칸 이상의 빈 칸이 존재하면 그 곳에 몸을 양 옆으로 쭉 뻗으면서 누울 수 있다. 가로로 누울 수도 있고 세로로 누울 수도 있다. 누울 때는 무조건 몸을 쭉 뻗기 때문에 반드시 벽이나 짐에 닿게 된다. (중간에 어정쩡하게 눕는 경우가 없다.)

만약 방의 구조가 위의 그림처럼 생겼다면, 가로로 누울 수 있는 자리는 5개이고, 세로로 누울 수 있는 자리는 4개 이다. 방의 크기 N과 방의 구조가 주어졌을 때, 가로로 누울 수 있는 자리와 세로로 누울 수 있는 자리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방의 크기 N이 주어진다. N은 1이상 100이하의 정수이다. 그 다음 N줄에 걸쳐 N개의 문자가 들어오는데 '.'은 아무것도 없는 곳을 의미하고, 'X'는 짐이 있는 곳을 의미한다.
출력
첫째 줄에 가로로 누울 수 있는 자리와 세로로 누울 수 있는 자리의 개수를 출력한다.
내 풀이
# 31120kb 48ms
n = int(input())
bed = []
cnt_col,cnt_row = 0, 0
for _ in range(n):
bed.append(list(input()))
def cnt_def(list_name): # 각 칸의 위치 정보에서
cnt = 0
if len(list_name) == 0: # [] = 누울 공간이 없음
pass
elif len(list_name) == 1: # [a] = 누울공간 1개 이상
cnt +=1
else:
cnt += 1 # 연속된 공간에 대한 확인
for num in range(len(list_name)-1): # 예) [ . . . X . . ] => [0, 1, 2, 4, 5] (연속된 숫자 X)
if list_name[num]+1 != list_name[num+1]: # 3 위치 정보 가 빠짐 => 잘 공간 2개
cnt +=1
return cnt
for i in range(n): # 각 가로 줄에 대하여 (총 세로줄 개수 만큼)
chk_list = []
for j in range(n-1): # n-1개 만큼 검사 해서 a, a+1을 비교
if bed[i][j] == '.' and bed[i][j] == bed[i][j+1]: # a, a+1 둘다 '.'이고 일치하면 칸 위치정보 저장
chk_list.append(j)
cnt_row += cnt_def(chk_list) # 위에 함수 정보 확인
for j in range(n):
chk_list = []
for i in range(n-1):
if bed[i][j] == '.' and bed[i][j] == bed[i+1][j]:
chk_list.append(i)
cnt_col += cnt_def(chk_list)
print(cnt_row, cnt_col)
메모
이 문제에서 걸렸던 부분은 한 줄(칸)에 누울자리가 무조건 한 개가 있는게 아니라
[. . X . . ] 와 같이 기둥 혹은 짐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자리가 있을 수 있는 점을 감안해서
모든 경우의 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반복문을 돌려야 한다는 점이었다.
가로 줄과 세로줄의 경우를 모두 고려해야 하다보니 조금 더 복잡한 느낌이었다.
'파이썬 알고리즘 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 | 백준 1769번] 3의 배수 (0) | 2024.02.26 |
---|---|
[Python | 백준 1676번] 팩토리얼 0의 개수 (0) | 2024.02.26 |
[Python | 1543번] 문서 검색 (0) | 2024.02.22 |
[Python | 1531번] 투명 (0) | 2024.02.22 |
[Python | 1476번] 날짜 계산 (0) | 2024.02.22 |